시마바라의 난(2/2)쇄국의 계기가 된 그리스도인들의 반란

시마바라의 난

시마바라의 난

기사 카테고리
사건부
사건명
시마바라의 난(1637년~1638년)
위치
나가사키현
관련 성
시마바라 성

시마바라 성

시마바라에서의 움직임을 받고, 며칠 후에는 아마쿠사·오야노(구마모토현 카미 아마쿠사시)에서 아마쿠사 시로를 기인에 일원이 발생. 오시마코의 싸움이나 마치야마구치강의 싸움(양쪽 모두 구마모토현 아마쿠사시)의 전투에 승리한 일소세는 마침내 토미오카성(구마모토현 아마쿠사군 토호쿠타마치)을 공격해, 낙성 직전까지 몰아넣습니다.

한편, 막부가 일반 발생을 알게 된 것은 11월에 들어간 이후였습니다. 도쿠가와 이에미츠는 일탄을 진압하기 위해 토벌 상사로 이타쿠라 중창을 파견. 중창은 규슈 여러 번에 의한 토벌군을 이끌고 시마바라 아마쿠사로 향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을 감지한 아마쿠사의 일보세는 토미오카성을 떨어뜨리는 것을 포기하고, 아리아케해를 건너 원성에 들어가 농성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시마바라와 아마쿠사의 일보세가 합류해 시로를 중심으로 막부와 싸우게 되는 것입니다. 일소세의 총수는 시마바라·아마쿠사의 영민 합해 약 3만 7000명에까지 부풀어 오르고 있었습니다. 일소세는 성을 수복함과 동시에 번에서 빼앗은 무기와 식료품을 옮겨 반지하식 주거를 만들어 농성에 대비했습니다.

시마바라의 난②결전・하라조의 싸움

하라성에서 농성하고 있는 일규세 아래에 이타쿠라 중창이 이끄는 토벌군이 도착한 것은 12월에 들어간 이후였습니다. 중창은 같은 달 중 2번에 걸쳐 총 공격을 하는 것도 실패. 여러 번의 모임의 군이었던 것, 규슈의 다이 다이묘들이 오로쿠의 중창에 좀처럼 따르지 않았던 것 등이 패인이었습니다. 초조한 막부는 2명째의 토벌군 상사로서 노중의 마츠다이라 노부즈나를 선출. 공을 초조한 중창은 이듬해 1월 1일 총공격을 시작하지만, 결과는 4000명의 죽은 자를 내는 참패로 끝났고, 중창 자신도 전사했습니다. 이 소식을 받은 막부는 미즈노 카츠나리와 오가사와라 타다마사를 증원으로 파견합니다.

궁극적으로 12만명 이상으로 부풀어 오른 토벌군은 원성을 포위합니다. 그리고 노부츠나는 일선세와 하라조의 내부의 모습을 고가닌자 등을 사용해 상세하게 조사해, 병량공격을 결의합니다. 한층 더 일군세의 사기 저하를 노리고, 네덜란드에 협력을 요구해, 배로부터 성을 향해 포격시켰다. 개신교라고 해도 같은 기독교인으로부터의 공격에 일탄세는 동요했을 것입니다.

그리고 2월 말 식량과 탄약이 다해 약한 일섭세를 향해 토벌군은 마지막 총 공격을 합니다. 당초는 2월 28일의 예정이었지만, 나베시마 카츠모가 빠져나가는 것으로 27일부터 전투가 개시. 28일에는 하라성이 낙성해, 아마쿠사 시로는 토벌당했습니다. 막부군은 시로의 얼굴을 몰랐기 때문에 어머니에게 수실검을 시켜 어머니가 울부짖어서 시로의 목이라고 판단했다는 지금 생각하면 잔혹한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원성의 싸움은 웅장했습니다. 일소세는 남만화가의 야마다 우에몬작 1명을 제외하고 모두 죽이기 위해서, 성과 그 주변은 시체가 누구나 쌓이는 사태에. 학살의 결과, 약 3만명의 목이 원성 등에 노출되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해서 시마바라 반도 남부와 아마쿠사 지방의 키리시탄은, 전쟁에 관계없이 숨어 있던 사람을 제외하고 거의 근절하게 되어, 일소는 종료한 것이었습니다. 덧붙여서, 이 싸움에의 검호·미야모토 무사시도 막부군으로서 참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우위문작은 살아남았을까요? 실은, 일원에 참가한 그리스도인 속에는, 부모나 아내·아이를 인질에 취해지거나, 주위에 강제되어 무리하게 참가시키거나 한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우에몬작도 그 혼자서, 부장이면서 막부와 내통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마지막 총 공격 전에 내통이 발각. 총 공격 때 감옥에서 구출되어 목숨을 구했습니다.

그리고 쇄국으로

시마바라의 난후, 막부는 하라성을 철저히 파괴합니다. 다시 일탄의 거점이 되는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시체와 함께 성의 잔해를 메웠습니다. 최근에는 원성의 발굴 조사가 여러 차례 실시되고 있지만, 대량의 인골이 출토하고 있습니다.

시마바라 번 영주의 마츠쿠라 카츠야와 가라쓰 번주의 테라자와 견고는 일규의 책임을 받게 됩니다. 카츠야는 소령 몰수 후 절복이 아니라 에도시대로서는 유일한 참수형에 처해졌습니다. 한편의 견고에의 처분은 아마쿠사 4만석의 몰수만이었습니다만, 출사는 허락되지 않고, 실의대로 자살해 버립니다. 그 후, 시마바라 번은 악보 다이묘의 고력 충방이 다스립니다. 아마쿠사는 토미오카 번으로서 야마자키 가지가 통치해, 그 후 막부령이 되었습니다. 또한 시마바라 아마쿠사 모두 인구가 격변했기 때문에 막부는 이민령을 내고 주변 여러 번에 농민을 이주하도록 명령하고 있습니다.

한편, 막부는 시마바라의 난을 계기로, 기독교도는 막부의 통치를 위태롭게 하는 것의 인식으로부터, 포교를 금지. 지금까지도 단계적으로 해외 국가와의 무역을 제한하고 있었지만, 1639년(관영 16년), 제5차 사슬 국령에 의해, 지금까지 기독교를 포교해 온 포르투갈의 무역선의 내항을 금지 합니다. 다만 기독교를 넓히지 않고도 무역이 가능한 네덜란드와 중국과의 무역에 대해서는 나가사키에서 막부가 독점적으로 실시. 여러 번이 무역에 의한 이익을 얻을 수 없는 체제를 구축했습니다. 이렇게 쇄국은 1853년(가영 6년)의 페리 내항까지 약 200년간 계속되게 됩니다.

시마바라의 난의 기사를 다시 읽는다

쿠리모토 나오코
작성자(라이터)전 여행 업계 잡지의 기자입니다. 어린 시절부터 일본사·세계사 불문하고 역사를 정말 좋아한다. 평상시부터 사찰 불각, 특히 신사 순회를 즐기고 있으며, 역사상의 인물을 테마로 한 「성지 순례」를 잘 하고 있습니다. 좋아하는 무장은 이시다 미츠나리, 좋아하는 성은 구마모토성, 좋아하는 성터는 하기성. 전쟁 성터와 성터의 이시가키를 보면 마음이 설레습니다.
일본 성 사진 콘테스트 .03